우유는 꼭 필요한 식품이 아니다. 오히려 어떤 사람에게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필수 영양소는 다른 음식이나 영양제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우유가 맞지 않는 사람
유당 불내증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우유를 소화하기 어렵다. 아시아인의 70% 이상이 유당을 제대로 분해하지 못한다. 복통, 가스, 설사 같은 증상이 따라올 수 있다.
우유 단백질 알레르기
알레르기 반응도 문제다. 일부 사람들은 우유 단백질의 약 80%를 차지하는 카제인이나 유청 단백질에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특히 카제인은 응고되는 성질이 있어 위장에서 덩어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소화 불량, 두드러기, 천식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혈관 건강 문제
우유에는 포화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포화지방은 적당량 섭취하면 에너지원이 되지만 과도할 경우 L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여 혈관 건강을 악화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꼭 우유를 마시고 싶다면 저지방 또는 무지방 우유를 선택하자.
우유 대체 식품
음식
우유 대신 시금치, 두부, 해조류 같은 식품을 섭취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칼슘 흡수율이 더 높고, 칼슘 외에도 다양한 영양소를 함께 섭취할 수 있기 때문. 소화가 더 편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영양제
우유 없이도 충분한 영양 보충이 가능하다. 칼슘과 비타민 D3 보충제를 함께 먹으면 효과적이다. 단백질은 완두콩, 대두 같은 식물 단백질로 대체할 수 있다.칼슘 대사를 돕는 마그네슘과 오메가3도 유용하다. 마그네슘은 근육 회복과 신경 안정에 도움이 된다. 오메가3는 염증을 줄이고 뼈 건강을 지원한다.
*이 기사는 티에리 수카르의 저서 <우유의 역습>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