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버벌찐다? 버벌진트는 오해받았다

2017.04.27GQ

논란을 먹고 자란 버벌진트는 ‘버벌찐따’라는 과거의 별명을 무색하게 만드는 중이다.

버벌진트는 논란을 즐겼다. 그런 게 필요한 시기였다. 그가 가장 날카로울 때 힙합은 거품이다 빠졌다. 동료 뮤지션과 싸우고, ‘헤이터’들을 도발하고, 힙합 커뮤니티의 인터넷 게시판을 상대로 ‘어그로’를 끌었다. 2007년 정규 음반 <무명>에 수록된 ‘투올더힙합키즈 투’엔 이렇게 썼다. “니 손이 내 발에 닿을 때까지 나 기다릴께, 그 전엔 랩 하지 마”, “인터넷 힙합 커뮤니티, 힙합 팬을 칭하지만 너무나 후진 귀”. 차기작 <누명>을 앞두곤 “저의 마지막 정규 앨범이 될 <누명>으로 인사드리기 전에 두 개의 트랙을 미리 들려드리려고 합니다”라고 직접 밝혔다. 물론 그는 은퇴하지 않았다.

스스로를 ‘King of Flow’라 칭했지만, 동시에 ‘벌벌진트’ 혹은 ‘버벌찐따’로 불렸다. 어느 쪽에 동의하는 사람이든 일단 버벌진트가 신곡을 내면 들었다. 그에 대해 뭔가 말하기 위해 열심히 들었다. 그때 힙합 신에는 < Show Me The Money > 같은 동력이 없었지만, 그는 논란을 동력 삼아 스스로 진화했다.

그를 지지했던 적? 없다. 지금 < Show Me The Money >나 <고등래퍼>에서 선전하는 래퍼들을 보는 시선과 비슷했다. 요령 있네. 이를테면 랩을 하다 덥석 객석의 부모님 손을 잡거나, 일부러 적이나 친구를 만들며 ‘라인’을 구축해 분량을 늘리는 것이 경연에서 이기는 방법이라면, 버벌진트는 ‘힙합 게시판 시대’의 룰을 알고 게임을 이끌었다.

그런데 정작 힙합이 급물살을 타자 버벌진트는 숨었다. 여느 성공한 래퍼들처럼 < Show Me The Money 4 >에 프로듀서로 나왔지만, ‘보스 행세’를 하지 않았다. 다른 시즌의 프로듀서 도끼와 더 콰이엇이 허허실실 힘을 빼고 ‘호감’이라는 실리를 챙기는 쪽이었다면, 버벌진트는 아예 존재감을 내세우지 않는 쪽을 택했다. 기믹이든 콘셉트든 캐릭터야말로 목숨 같은 방송인 < Show Me the Money >에서 그렇게 했다. 대신 그와 산이가 프로듀싱을 맡은 베이식은 우승했고, 4강까지 오른 블랙넛은 성적과 별개로 방송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됐다. 버벌진트에겐 무엇이 남았나? 자초하긴 했지만, 참가자들의 심사를 번복한 해프닝 때문에 생긴 ‘번복진태’라는 새로운 별명 정도.

이제 버벌진트는 논란의 대상이 아니다. 식었다. 버벌진트는 ‘리얼’인가 ‘지질이’인가, 버벌진트는 ‘King’이 맞나에 대한 논란은 없다. 데뷔 하자마자 아무 결과물 없이 대뜸 왕을 자처하는 래퍼가 수두룩하니, 아예 그런 논란 자체가 유효하지 않은 시대인지도 모른다. 그렇다해도 자칭 타칭 다음절 라임의 창시자이자 ‘엄친아’인 버벌진트가 취할 수 있는 포지션이라면 여전히 있다. 물론 그가 지금 당장 빈지노가 될 수는 없겠으나, 까칠한 선생님이나 한국어 라임 장인 같은 포지션이라면 어려운 일도 아니다. 단순하게는 큰 형님이나 사장님도 괜찮을 것이다. 그가 이끌던 크루 오버클래스가 컴백한다는 소식이 들리긴 하지만, 과연 지금 그의 위상은 같은 크루 멤버인 산이나 스윙스보다 높은가? 그렇지만 버벌진트는 “내가 왕년엔 말야”라 으스대며 높은 심사위원석에 새카만 선글라스를 쓰고 앉는 대신, 두 눈 똑바로 뜨고 지금을 바라본다.

지난 연말, 박근혜 정부를 직간접적으로 비판한 산이의 ‘나쁜X’ (BAD Y EAR)와 DJ DOC의 ‘수취인분명’이 발표됐다. 의도가 어떻든, 여혐으로 문제 삼을 수 있는 가사가 포함된 곡들이다. “충혈된 네 눈 홍등가처럼 빨개” (‘나쁜X’ 中,) “하도 찔러대서 얼굴이 빵빵” (‘수취인 분명’ 中). 어쨌거나 DJ DOC는 문제가 된 구절을 수정해 광화문 광장의 무대에 섰고, ‘나쁜X’에 대한 갑론을박도 오래가지 않았다. 되레 정치적 의견을 발표하는 근래 보기 드문 래퍼, 라는 호응을 얻기도 했다.

버벌진트는 거기에 슬쩍 올라타는 대신, 결이 좀 다른 신곡 ‘그것이알고싶다’를 냈다. 그리고 거기서 산이의 가사를 문제 삼았다. “광장에 모인 모두가 그를 혐오한다는 것을 알아도, Yeah I know. 그가 여성인 것을 걸고 넘어지는 순간부터 하나도 말 안 되는 거 작동 안 되는 거. 산이에겐 미안하지만 상대는 더 해상도 높은 Vision으로 까야만 한다는 거.” 미리 양해를 구했든 갑작스럽게든, 같은 소속사 동료를 이렇게 공개적으로 거론하는 일이 ‘브라더후드’로 똘똘 뭉친 힙합 신 안에서 벌어질 줄이야. 결국 ‘나쁜X’나 ‘그것이알고싶다’나 하고자 하는 얘기는 같다. “이 상태로 우리나라는 어디까지 가는지” (그것이알고싶다 中). 단, 버벌진트는 광장에서 깃발을 흔드는 대신 “혐오의 단어는 내뱉고 싶지 않아”라 말한다.

물론 이 한 곡으로 대번 그의 모든 것을 지지하게 된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과거의 그를 이해하게 된 쪽에 가깝다. 소울컴퍼니를 위시한 ‘착한 래퍼’들의 시대에 그는 거꾸로 못되게 구는 래퍼였다. 하지만 집요하고 ‘지질하다’ 말 할 수 있을지언정, 본인의 지질함을 기꺼이 수용하는 ‘꼬장꼬장한’ 가사를 썼다. 자기를 우뚝 세우며 나 몰라라 상처받을 수 있는 소수에 무감한 것이 아닌, 자기를 고립시킨 뒤 특정한 다수 혹은 강자에게 강렬하게 쏘아붙였다. 힙합은 약자의 음악이라더니, 과연 요즘 한국의 래퍼들이 약자처럼 행동하나?

당연히 과거 버벌진트의 가사 중에도 혐오 발언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최소한 그는 배우고 실수를 인정하고 바뀌는 래퍼다. “올해의 난 작년의 나완 다른 곳에 와 있으니까. We live We learn” (그것이알고싶다 中). < Show Me The Money >의 심사 번복 논란에 대해서도 직접 사과문을 썼다. “본 사안은 긴 시간 동안 어떤 꼬리표가 저희에게 붙어 따라다녀도 변명할 수 없는 부끄러운 장면으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국 힙합 신은 그 어느 때보다 ‘누가 더 유해한가’를 겨루는 장 같아 보인다. 혹은 아예 건강하고 건실한 래퍼라는 콘셉트를 잡거나. 그런 블랙넛과 비와이의 시대, 버벌진트는 무해하다. 무해하다는 말조차 민망한 것은, 이른바 ‘시대정신’의 기본 중 기본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무해하다는 판정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지금의 힙합 신이라서다. 거기에 더해, 버벌진트에겐 주변의 유해함에 주의를 줄 수 있는 용기와 영향력이 있다. 적어도 신 내의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아직 그렇다. 이것이 그가 ‘형’으로 존재하는 방식이다.

돌이켜보면 그는 힙합 신에 막 불이 붙고 < Show Me The Money >의 첫 번째 시즌이 방영된 2012년, < 10년 동안의 오독 I >이라는 음반을 발표했다. 요약하자면, 자신은 오해받았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5년이 더 흘렀고, 버벌진트를 이제 똑바로 보게 됐는지도 모른다.

    에디터
    글 / 유지성 ( 'PLAYBOY KOREA' 부편집장 )
    일러스트레이터
    이승훈